";
 
기사제목 “곤충식품, 수술환자 회복 돕는다”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곤충식품, 수술환자 회복 돕는다”

강남세브란스 영양팀·외과 고소애식 연구, 기존 환자식보다 단백질 섭취 많고 제지방량 증가
기사입력 2016.12.26 10:03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이팜뉴스] “곤충을 먹는다?”


얼핏 거부감이 먼저 들 수 있지만, 곤충식품으로 제공된 환자식이 열량과 단백질 섭취가 높아 수술환자들의 회복을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양팀(김형미, 김성현)과 외과(박준성, 김종원, 강정현)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환자식으로 곤충식품을 제공한 결과 곤충식을 섭취한 환자들이 기존의 환자식을 섭취한 대조군 환자보다 높은 열량과 단백질을 섭취하는 등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식용 곤충의 환자식 적용 가능성을 살핀 국내 첫 연구다.


연구팀은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위장관 수술을 받은 환자 34명(90%가 암 환자)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곤충식품인 고소애(농림수산식품부는 갈색거저리 애벌레(밀웜)의 식용을 추진시키기 위해 ‘고소한 애벌레’라는 뜻의 고소애로 부르기로 함)로 만든 환자식(20명)과 기존의 환자식(14명)을 지난 8월 4일부터 11월 2일간 제공했다.


위의 사진은 고소애를 이용한 죽, 다식, 라즈베리 쥬스, 젤리, 양갱, 고소애 및 분말(왼쪽 하단에서 시계방향) 등 다양한 환자식이다.


두 그룹의 열량·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정맥영양을 공급받지 않은 환자군에서 곤충식 환자의 경우 하루 평균 965㎉로 기존의 환자식을 섭취한 환자 667㎉보다 300㎉가량 많았다. 또 단백질 섭취량에서도 곤충식 환자들이 평균 38.8g으로, 대조군 환자의 24.5g보다 1.5배 이상 많게 나타났다. 지방도 각각 27.9g과 12.5g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정맥영양을 공급받지 않은 수술 후 환자들의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 곤충식의 효과가 더욱 뚜렷이 확인됐다. 곤충식 환자들은 수술 후 체중 손실이 -1.0%, 대조군 환자들은 -2.7%로 곤충식을 먹은 환자들이 체중손실이 덜 한 걸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주로 골격과 근육으로 구성된 제지방량(FFM: Fat free mass)은 곤충식 환자에서 1.4% 증가한 반면 대조군 환자에서는 오히려 3.5% 감소했다. 제지방량은 수술 후 합병증, 생존율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연구팀은 최근 각종 연구보고에서 밥 국 중심의 환자식이 섭취 부피에 비해 열량 및 단백질 섭취가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기에 해결책으로 부피가 작고 고단백인 곤충식을 대안으로 주목했다고 설명한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곤충식품 갈색거저리는 국내 식용 허가 1호 곤충으로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고,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좋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풍부해 환자식으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의 박준성 교수(강남세브란스 간담췌외과)는 “수술 환자에게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은 상처 회복·면역력 보강·제지방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형미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양팀장도 “수술 후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식사 섭취가 중요하며, 특히 열량과 단백질을 요구량 대비 80% 이상 섭취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식사의 구성 및 영양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에서 단백질을 요구량의 80% 이상 섭취한 환자는 갈색거저리 환자식을 섭취한 20명 중 12명(60%)이었으나 기존의 환자식을 섭취한 14명 중 4명(29%)에 그쳤다. 곤충식품을 먹은 후 이상 반응은 한 건도 없었다.


곤충은 가축에 비해 사육 면적이 좁아 높은 토지 이용 효율을 보이고, 한 번에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알을 낳으며, 1년에 여러 번 세대가 순환되므로 빠른 기간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1kg 생산 시 필요한 사료가 육류에 비해 매우 적다는 장점도 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곤충은 대부분의 가축보다 상당히 적은 온실가스(메탄,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등)를 배출하는 이점이 있다.


또 영양적으로는 곤충이 소고기, 닭고기 등 기존 주요 단백질원의 대안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 단백질이 풍부해 단백질 함유량이 돼지고기보다 높으며, 소고기, 달걀과 비슷한 정도이다.


거기에 건강에 도움이 되는 불포화지방산이 총 지방산 중 7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칼슘, 철 등 무기질 함량 또한 높아 영양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농촌진흥청은 과학적인 입증을 통해 갈색거저리 유충을 올해 3월 식품공전(Korean Food Standards Codex)에 정식으로 등록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식사 섭취에 따른 영양 섭취 및 영양상태 변화: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라는 제목으로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www.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